분류 전체보기

· JAVA/Kotlin
ref: https://kotlinlang.org/docs/coroutines-basics.html#suspending-functions이미 코루틴을 사용해봤고 약간 알고 있다고 가정하겠습니다.다시 처음부터. suspend가 뭐라고?그니까 멈추게 할 수 있다! 이거다. 그니까 만약 suspend fun foo(): Int { return 0;}와 같은 함수가 존재한다면 컴파일 되면서 요렇게 변한다.fun foo(continuation: Continuation): Any???? : 파라미터가 있으면요?suspend fun foo(param1: Param): Int { return 0;}와 같이 있었다면fun foo(param1: Param, continuation:Continuation): An..
· JAVA/Kotlin
https://velog.io/@bernoyoun/kotlin-deepshallowwide-dive-wide-lateinit-%EA%B3%BC-lazy [kotlin deep/shallow/wide dive] wide - lateinit 과 lazykotlin을 사용하다 보면 나중에 초기화를 하기 위해 lateinit 과 lazy를 사용하곤 하는데 그래서 이게 뭐가 다르다고?일단 공식문서에서 다시 한번 lateinit과 lazy by에 대해서 슥 읽어보자.https://kotlinlangvelog.io
(가볍게 적은 글)https://velog.io/@bernoyoun/%EB%82%B4%EA%B0%80-%EC%82%AC%EC%9A%A9%ED%95%98%EB%8A%94-%EB%B0%94%EC%9D%B4%EB%B8%8C-%EC%BD%94%EB%94%A9-%ED%94%84%EB%A1%9C%EC%84%B8%EC%8A%A4 내가 사용하는 바이브 코딩 프로세스나는 초기에 바이브 코딩을 하면서 부터 문제가 최대한 덜 생기게 개발을 하는 방법을 고민해보았다.그냥 무턱대고 마! 개발해줘! 라고 하기엔 사이즈가 커지면서 온갖 문제가 발생할 것 같았다velog.io
가볍게 읽고 싶으신 분은 아래 글로 구두쇠식 서비스 인프라 운영법"월 인프라 비용이 $45... 좀 더 절약한다. 쥐어짜면 뭐든 나온다.개인 서비스를 운영중이다. 혼자 개발하고 있다. 월 인프라 비용이 $45-50이 나온다. 줄일거다. 이거 줄일 수 있다.Cloud Run (백엔드):velog.io(이 글은 Claude와 합작으로 작성된 글임을 밝힙니다.)개인 프로젝트에서 월 $45-50의 GCP 인프라 비용을 $15-20으로 70-85% 절감한 실제 최적화 사례를 다룹니다. 조건부 빌드, 의존성 기반 캐싱, 아키텍처 단순화, AI API 최적화를 통해 비용 절감과 동시에 성능 향상을 달성한 엔지니어링 과정을 상세히 분석합니다.주의사항 : 약간의 비용적 과장, 타임라인 상 코드 상으로 예전에 해뒀는데 여..
https://velog.io/@bernoyoun/%EC%9D%B4%EC%A0%9C-Langchain%EC%9D%84-%EA%B3%B5%EB%B6%80%ED%95%A0-%EC%8B%9C%EC%A0%90%EC%9D%B4-%EC%99%80%EB%B2%84%EB%A6%B0-%EB%B0%80%EB%A6%BC%EC%9D%98-%EC%99%95%EC%9D%80-%EC%82%AC%EC%9E%90%EC%9E%85%EB%8B%88%EB%8B%A4.-%EA%B7%B8%EB%9E%98%EC%84%9C-%EC%9D%BC%EB%8B%A8-ollama%EC%97%90%EC%84%9C-LLM-%EB%AA%A8%EB%8D%B8-%EB%A8%BC%EC%A0%80-%EC%84%A4%EC%B9%98%ED%96%88%EC%8A%B5%EB%..
https://velog.io/@bernoyoun/SSE-Long-Polling-WebSocket SSE? Long Polling? WebSocket?오늘도 딸깍딸깍하며 바이브 코딩을 즐기던 중, SSE로 개발되었던 기능에서 문제가 터졌다.velog.io 이 글은 왠지 올리긴 하지만 velog가 더 적절해보이긴 한다..
이 글은 제 경험기를 GPT와 함께 작성한 글임을 밝힙니다.Case StudyToken Limit로 막힌 2,000+라인 태스크 파일을 구조화해 76.1% 토큰 절감한 방법Executive Summary문제: 단일 tasks.md(2,247라인)를 모델에 로딩할 때 token limit exceed로 AI 워크플로우 불능 상태 발생.해결: 마스터 인덱스(180라인) + 6개 전문 파일 + 완료 아카이브로 정보 아키텍처 재설계.성과(정량)평균 토큰 사용량 76.1% 절감 (42,000 → 10,100)응답 시간 평균 75% 단축 (질의 유형별 73~83%)탐색 시간 70% 단축, 개발 효율성 4배API 비용 연간 $8,731 절감, 개발 시간 절감 ROI 연간 ~$80,000성과(정성)개발자 만족도 및 정..
본 글은 CLAUDE + GPT와 함께 작성한 글임을 밝힙니다.CLAUDE-CODE에서 왜 자꾸 너는 CLAUDE.md에 있는 내용을 까먹는거야? 와 같은 내용으로 질문을 하였을때 알려준 내용을 토대로 나온 글입니다. CLAUDE.md의 내용을 자꾸 까먹는다니까요.반복된 실패 사례사용자 요청: "PR 머지해"기대 동작: 문서 4개 자동 업데이트 (status.md, tasks.md, README.md, dev-notes/)실제 동작: PR만 머지 → 문서 업데이트 누락결과: 상태 불일치, 뒤늦게 수동 작업비즈니스 임팩트자동화 도입 효과 상실 → 수동 부담 증가프로젝트 문서와 실제 상태 불일치인지 부하 증가 → 개발자 경험(DevEx) 악화규칙 준수율 저하 → 품질 저하원인 분석1. 과도한 정보량기존 CL..
이전 글 : https://developer-youn.tistory.com/193  0. 이 글을 쓰는 이유하... 그니까 이게 제 실수긴 한데.. 미친듯한 N+1문제가 발생을 하긴 했습니다.. 그래서 다시..  1. 그니까 그 문제의 부분이 어디냐면.. if (!Hibernate.isInitialized(collection)) { Hibernate.initialize(collection) } 여기서 join이 걸려있는 경우 한번에 모아서 fetch를 하는게 아니라 각각 초기화를 하다 보니 정말 join이 걸리면 그 개수만큼 N번 날려서...  2. 그래서 고민은 꼬리에 꼬리를 물며내가 왜 이렇게..
부제 : spring boot 2.7에서 3.x 로 올리며 당신도 당할 수 있는 이야기 0. 왜 이 글을 쓰게 되었는가?spring boot 2.7에서 spring boot 3.2로 대 격변을 일으키게 되며 MSA로 구성중이던 서비스들 중 일부를 업그레이드하게 되었습니다. 근데 아니 세상에 결과가 이전과 다르게 나왔는데 제가 시원하게 기존 코드를 제거하면서 발생한 일이었습니다. 문제의 라이브러리는Criteria.DISTINCT_ROOT_ENTITY였고 저는 변명을 하자면 이게 다 마이그레이션 가이드를 탓할 겁니다. 분명 다 해준다고 했거든요? 근데 이건 예외더라고요...그래서 문서를 좀 봤어요. Criteria는 Deprecated 이런 것도 없고 setResultTransformer에는 이렇게 되어있네..
Berno
'분류 전체보기' 카테고리의 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