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이 글을 작성하는 이유
잘 사용하다가 어느 날 postgres가 DBeaver에서 접속이 안되기 시작하였다. 이걸 조치하는 건 구글링으로 해결했지만 발생 이유와 내용을 아주 조금 더 깊게 분석해 본 내용을 공유해 보기 위함
환경 :
mac os
brew install postgresql14
0-1. 조치 방법 먼저 공유
error : 아래 에러가 발생함.
Bootstrap failed: 5: Input/output error Try re-running the command as root for richer errors. Error: Failure while executing; `/bin/launchctl bootstrap gui/501 /Users/user/Library/LaunchAgents/homebrew.mxcl.postgresql@14.plist` exited with 5.
psql: error: connection to server on socket "/tmp/.s.PGSQL.5432" failed: No such file or directory Is the server running locally and accepting connections on that socket?
solve : 아래 파일을 제거하고 다시 실행
/opt/homebrew/var/postgresql@14/postmaster.pid
1. 일단 서비스가 맛이 갔으니 다시 시작해보려고 했다.
brew services start postgresql@14
아래 에러가 발생했다.
Bootstrap failed: 5: Input/output error Try re-running the command as root for richer errors. Error: Failure while executing; `/bin/launchctl bootstrap gui/501 /Users/user/Library/LaunchAgents/homebrew.mxcl.postgresql@14.plist` exited with 5.
도대체 무슨 일이 있던 걸까. 속는 셈 치고 바로 psql을 터미널에 입력해 보았다. 에러메시지가 조금 달라졌다.
psql: error: connection to server on socket "/tmp/.s.PGSQL.5432" failed: No such file or directory Is the server running locally and accepting connections on that socket?
brew로 설치한 postgresql14는 이 파일을 통해 설정을 제어한다.
homebrew.mxcl.postgresql@14.plist
<?xml version="1.0" encoding="UTF-8"?>
<!DOCTYPE plist PUBLIC "-//Apple//DTD PLIST 1.0//EN" "http://www.apple.com/DTDs/PropertyList-1.0.dtd">
<plist version="1.0">
<dict>
<key>KeepAlive</key>
<true/>
<key>Label</key>
<string>homebrew.mxcl.postgresql@14</string>
<key>LimitLoadToSessionType</key>
<array>
<string>Aqua</string>
<string>Background</string>
<string>LoginWindow</string>
<string>StandardIO</string>
<string>System</string>
</array>
<key>ProgramArguments</key>
<array>
<string>/opt/homebrew/opt/postgresql@14/bin/postgres</string>
<string>-D</string>
<string>/opt/homebrew/var/postgresql@14</string>
</array>
<key>RunAtLoad</key>
<true/>
<key>StandardErrorPath</key>
<string>/opt/homebrew/var/log/postgresql@14.log</string>
<key>StandardOutPath</key>
<string>/opt/homebrew/var/log/postgresql@14.log</string>
<key>WorkingDirectory</key>
<string>/opt/homebrew</string>
</dict>
</plist>
여기서 StandardErrorPath에 있는 경로로 에러를 확인해 보았다.
징그럽게도 log에서 에러를 뱉어댄다.
2. postgresql은 알겠는데 postmaster는 뭐고 postmaster.pid파일은 뭐길래 이런 일이 발생하는가
우선 postmaster가 뭔지 알아보자.
우리가 흔히 Postgresql을 켠다고 하는데 그 데이터베이스 서버는 postmaster라고 부른다고 한다.
client가 어플리케이션에 접근하려면 반드시 postmaster가 켜져있어야 한다고 한다. 이 Postmaster는 서버 프로세스들 간의 통신도 관리한다고 한다.
이런 게 있는 줄은 몰랐다. 그러면 postmaster.pid라는 건 도대체 어떤 걸까
postmaster가 실행될 때 PID가 postmaster.pid에 저장된다고 한다.
그러면 postmaster는 postmaster.pid에 있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실행하는 것 같다. 파일을 열어보자.
뭔가 경로와 pid와 ip와 이것저것 실행을 위한 정보들이 담겨있다.
찾아보니 이런 정보들이 들어간다고 한다.
- the current postmaster process ID (PID)
- cluster data directory path
- postmaster start timestamp
- port number
- Unix domain socket directory path
- listen_address (IP address)
- shared memory segment id(key)
- postmaster status
출처 : postmaster.pid - pgPedia - a PostgreSQL Encyclopedia
postmaster.pid - pgPedia - a PostgreSQL Encyclopedia
postmaster.pid The pidfile written by the postmaster process postmaster.pid is the pidfile written by the postmaster process. As well as the postmaster's PID, it contains additional information about the running instance. postmaster.pid was added in Postgr
pgpedia.info
이제 뭔가 이해가 되기 시작한다. 모종의 이유로 이 postmaster.pid에 있는 포트나 directory path가 꼬이면 그럴 수 있을 것 같다.
그러면 이걸 막 지워도 괜찮은가?
jakob은 postgresApp의 member로 안 쓰면 지워도 된다고 한다.
3. 다시 정리해 보면
정리해 보면 이 postmaster.pid를 보고 postmaster를 실행하게 되는데 모종의 이유로 postgresql을 재시작하면서 이 postmaster.pid가 갱신이 되지 않아서 발생한 에러로 분석된다.
'컴퓨터공학 > 데이터베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UUID에 바로 LIKE연산자를 사용하려고 했더니 안되었던 이유는? (1) | 2024.02.04 |
---|---|
postgresql9.6 성능 이야기 1장 - 아키텍처 개요를 보다가 (1) | 2024.01.27 |
PostgreSQL Materialized View 사용기 (1) | 2024.01.12 |
[PostgreSQL]Table Partitioning (1) | 2023.12.03 |
Real MySQL 8.0 읽으면서 정리하기 (1) - 시스템 설정 (0) | 2023.08.23 |